당신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부와 명예? 아니면 다른 무언가가 있을까요? 이경순 교수의 건강 이야기에서는 놀라운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85년간 지속된 세계 최장기 행복 연구

하버드 대학교에서는 무려 85년 동안 지속된 행복에 관한 연구가, 2015년 로버트 월딩거 교수에 의해 TED 강연을 통해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What makes a good life lessons from the longest study on happiness(행복에 관한 최장기 연구에서 배운 교훈)”이라는 제목으로, 무려 3,500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총 724명을 대상으로 75년간 진행
  • 하버드 대학 학생 238명과 보스턴의 가장 가난한 지역 주민 504명 포함
  • 현재는 그들의 가족을 포함해 2,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연구 진행 중
  • 병원 기록, 혈액 검사, 뇌 촬영, 가족 면담 등 다양한 데이터 수집

밀레니얼 세대의 인생 목표는?

연구자들이 1980년부터 2000년대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에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가 무엇인가?”라고 물었을 때:

  • 80% 이상이 “부자가 되는 것”이라고 답변
  • 50% 정도가 “명예를 얻는 것”이라고 응답

그러나 85년간의 연구 결과는 이와 크게 다른 결론을 내놓았습니다.

놀라운 연구 결과: 행복과 건강의 핵심은 ‘관계’

75년간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가장 중요한 결론은 바로 “인간관계”의 중요성이었습니다. 연구 결과 밝혀진 사실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회적 관계와 건강의 상관관계
    • 가족, 친구, 지역사회와 더 많이 연결된 사람들이 더 행복하고 신체적으로 더 건강함
    • 좋은 관계를 맺은 사람들은 수명이 50% 더 길어짐
    • 면역력 증가, 우울과 불안 감소, 자존감과 공감 능력 향상, 정서 조절 기능 강화
  2. 관계의 질이 더 중요
    • 단순히 관계의 수보다 질이 높은 친밀한 인맥이 더 중요
    • 외로움은 하루 15개피의 담배를 피우는 것과 동일한 건강 위험
  3. 건강한 관계의 기준
    • 15~20명과의 핵심적인 관계가 있다면 건강한 관계로 볼 수 있음
    • 관계의 핵심은 사랑과 신뢰
    • 도움이 되고, 관심과 배려가 있는 관계가 건강에 도움

현대 사회의 관계: SNS vs 아날로그 관계

SNS를 통한 관계는 편리하지만, 실제 만남을 통한 아날로그 관계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이경순 교수는 80년 가까이 지속된 초등학교 동창과의 만남을 예로 들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관계의 소중함을 강조했습니다.

행복과 건강의 비밀 2

산수국 꽃이 주는 교훈

이경순 교수는 백성원 시인의 ‘관계 산수국’ 시를 통해 관계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산수국 여름 숲속에 피는 희고 푸른 산수국은
보잘 것 없는 진짜 꽃이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그 둘레에 참꽃보다 크고 화려한 헛꽃을 내어단다
더욱 신비로운 것은 참꽃이 꽃가루받이에 성공하면
그동안 꽃 신용하던 헛꽃들이 다시 제자리를 찾아 돌아간다는 사실

이 시는 우리에게 묻습니다. “여기까지 오는 동안 나는 헛꽃이라도 되어 누군가를 빛나게 한 적이 있었던가?”

건강한 삶을 위한 관계의 힘

85년간의 하버드 연구가 보여주듯, 건강과 행복을 위해서는 약이나 음식보다 ‘관계’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관계는 우리 삶의 뿌리와 같아서, 가늘지만 큰 지진도 견뎌낼 수 있는 대나무 뿌리처럼 우리 삶을 지탱합니다.

오늘부터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더 건강하게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당신의 건강과 행복을 위한 가장 좋은 투자가 될 것입니다. 당신은 지금 어떤 관계 속에서 살고 있나요? 이 글을 공유하시고 여러분의 생각을 나누어보세요!